작고 가벼운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 캐논 EOS RP 는 장점이 많은 카메라 입니다. 2620만 화소의 CMOS 센서와 최신 영상처리 엔진 DIGIC 8 이 고해상도 화질의 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해주고 EV-5에서도 초점을 검출하는 즉, 광량이 충분치 않은 어두운 실내환경에서도 오토포커스를 검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440g이라는 중량은 물론 렌즈를 포함하지 않은 상태의 무게이지만 타 경쟁 모델대비 상당히 가벼운 설계를 만족한 기동성이 좋은 카메라 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캐논 EOS RP의 주요 특징과 캐논 EOS RP만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캐논 EOS RP 주요 특징
- 2620만 화소 CMOS 센서
- DIGIC 8 프로세서 영상 처리 엔진
- 440g의 초경량 바디
- EV-5의 저휘도 초점 검출
캐논 EOS RP 는 가장 작고 가벼운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
아래 그림을 보시면 크기 비교가 아주 잘 나와 있습니다. EOS R 의 후속 모델로 풀프레임 센서를 채택하고 있음에도 크기는 혁신적으로 작아 졌습니다. 기동성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줄 수 밖에 없는 부분이자 EOS RP 만의 매력이라고 할만 합니다.

EOS RP : 54mm 대구경 RF 마운트
EOS의 가장 큰 장점으로 신뢰성이 확보된 다양한 EF렌즈군을 들 수 있겠습니다. EOS RP 는 EOS R 과 마찬가지로 EF 마운트를 과감하게 버리고 RF라는 새로운 마운트를 적용했습니다. 상당히 모험적인 행보를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크롭바디에 사용된 렌즈를 풀프레임 카메라에 바로 적용하면 이미지 화질이 저하됩니다. 이는 렌즈의 구경(지름)이 크롭바디의 센서(APS-C)에 적합하도록 경제적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간단하게 도식화 해 보면 기존의 APS-C에 맞도록 설계된 렌즈는 위의 첫번째 그림처럼 경제적으로 설계가 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굳이 원가를 상승시키면서 큰 구경의 렌즈를 설계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죠.
이 때문에 이렌즈가 갖는 빛의 영역을 그대로 풀프레임 센서에 적용하게 되면 위의 두번째 그림과 같이 주변부에 광이 충분히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주변부의 화질이 저하된다는 원리 입니다.
따라서 아래의 그림과 같은 설계의 변경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위 그림은 렌즈의 파이를 키워(들어오는 창의 크기를 키워) 빛이 충분히 센서를 커버하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물론 간략히 도식화된 것이기 때문에 이해용으로만 참조해 주세요.
여기서 RF 마운트 라고 하는 것은 렌즈의 크기가 아니라 마운트 구경의 크기가 커졌다는 말입니다. 원리는 위의 설명과 같습니다. 마운트의 구경을 키움과 동시에 백포커스를 줄여 빛 손실을 최대한 줄이는 설계를 하였습니다.

좋습니다. 화질의 개선을 위해 렌즈의 설계까지 변경하는 것은 대단히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RF마운트의 렌즈군은 불편함이 없는 수준인지가 궁금해 집니다.

EOS RP 발매 당시는 10종의 렌즈를 2019년까지 라인업 하겠다고 했는데 현재 시점 홈페이지 업로드 되어 있는 상품으로는 8종이 발매 판매되었습니다. 나머지 2종은 아직 남은 2달동안에 과연 나올지 한번 기다려 봐야겠습니다.
렌즈군은 아주 다양합니다. 광범위한 범위로 사용하기에 전혀 무리가 없는 라인업 인 것 같습니다. 70-200 F2.8 렌즈만 어서 나와주었으면 합니다.
마운트 어댑터를 이용하면 기존의 렌즈와도 호환이 된다고 합니다.
캐논 EOS RP 화질에 대하여
화질 개선에 신경을 쓴 EOS RP 의 감도에 따른 화질을 한번 비교해 보겠습니다.
참고사이트 : 디프리뷰

ISO 100 에서 캐논 EOS RP, 후지필름 X-T3, 소니 a7 Ⅱ, 니콘 Z6 와 비교해 보았습니다.
후지 X-T3는 최저감도가 160이기 때문에 160으로 설정되었습니다.
글씨의 디테일은 EOS RP 와 소니 a7 Ⅱ가 좋아 보입니다.
소니 a7 Ⅱ > 캐논 EOS RP > 니콘 Z6 > 후지필름 X-T3

ISO 800 입니다. 디테일 부분은 후지필름 X-T3가 가장 떨어져 보입니다. 소니 a7 Ⅱ는 암부가 다소 밝게 표현되고 노이즈가 가장 먼저 심해집니다.
니콘 Z6 > 캐논 EOS RP > 소니 a7 Ⅱ > 후지필름 X-T3

ISO 1600 입니다.
캐논 EOS RP : 샤프니스한 노이즈가 보입니다. 거슬리는 정도는 아니고 자연스럽습니다.
소니 a7 Ⅱ : 가장 심한 컬러 노이즈가 보입니다. 샤프니스는 여전히 강해 보입니다.
후지필름 X-T3 : 컬러 노이즈가 없습니다. 가장 자연스러운 노이즈 입니다.
니콘 Z6 : 부드러운 노이즈가 자연스럽습니다. 화질도 유지하고 있습니다.
캐논 EOS RP > 니콘 Z6 > 후지필름 X-T3 > 소니 a7 Ⅱ

ISO 12800
캐논 EOS RP : 컬러 노이즈가 심해 집니다. 디테일은 가장 좋아 보입니다.
소니 a7 Ⅱ : 가장 심한 컬러 노이즈가 보입니다. 샤프니스는 여전히 강해 보이지만 암부 명부 모두 심하게 화질저하가 보입니다.
후지필름 X-T3 : 컬러 노이즈가 없습니다. 디테일은 없습니다. 필름 느낌이 나는 노이즈 입니다.
니콘 Z6 : 부드러운 노이즈가 자연스럽습니다. 화질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니콘 Z6 > 캐논 EOS RP > 후지필름 X-T3 > 소니 a7 Ⅱ
여기서는 다루지 않았지만 캐논 EOS RP 는 AF 성능도 개선이 되었고 저조도에서 초점도 잘 잡힌다고 합니다.
단점으로는 동영상 촬영기능이 다소 약합니다. 배터리 수명도 짧습니다.
EOS RP 주요 사양
- 2620만 화소 CMOS(풀프레임9*24MM)
- 6240*4160
- DIGIC8 프로세서
- ISO : 100-40000
- RAW : 14bit
- 초점 포인트 : 4779
- 렌즈 마운트 : RF
- 전자식 뷰파인더 (커버리지 100%)
- 뷰파인더 화소 : 236만화소
- 셔터 : 30s~1/4000s
- 플래쉬 최대 동조 : 1/180sec
- 연사 : 5fps
- 동영상 : 3840*2160 24p
- 무게 : 485g
- 배터리 : 250(CIPA)
※ 위 링크에는 추천인 링크가 포함되어 있어서 링크를 통해서 구매하시게 되면 쿠팡 파트너스에서 저에게 소정의 수수료가 지급됩니다.
아이폰12 색상, 가격, 장단점 정리 / 아이폰12 미니부터 프로맥스까지
아이폰12 색상, 가격, 장단점, 출시일 등 간략하고 요약적인 정보를 기재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