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가를 이한 사진 작업용 모니터 를 추천해 보겠습니다. 먼저 사진가는 어떤 모니터를 사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면 어떤 기준으로 모니터를 구매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사진작가 권학봉님께서 유투브를 통해 잘 설명해 주셨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권학봉 사진가님께서 추천하신 제품과 선정이유에 대해 빠르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권학봉 사진가님께서 추천하신 제품과 선정이유에 대해 빠르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진 작업용 모니터 해상도
: 사진 작업용 모니터 해상도는 높으면 높을수록 좋지만 4K UHD 해상도(3840×2160) 이상이면 문제가 없습니다. 최근에는 8K 모니터까지 출시되어 있습니다.
2. 인치
: 27” 부터 32”인치가 가장 무난하고 많이 사용하는 사이즈 입니다.
3. 패널
: IPS 패널이 거의 대부분 입니다. IPS 패널은 넓은 시야각과 높은 색재현률이 특징인 패널로 컬러 전문가용 모니터에 채택되는 방식입니다.

4. 사진 작업용 모니터 색역 출력
: 사진 작업용 모니터 로 Adobe RGB를 지원하는 모니터를 구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모든 조건 보다 색역을 사진가 모니터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시면 Adobe RGB가 sRGB에 비해 더 많은 색범위를 표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Adobe RGB를 사용하는 것은 더 많은 색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

최근에는 DCI-P3 색공간을 사용한 제품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DCI-P3은 미국 영화산업에서 디지털 영화 상영을 목적으로 정의한 색공간으로 sRGB에 비해 25% 넓은 색역을 가지고 있는 색공간입니다.

5.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
: 소프트웨어 캘리브레이션이 아닌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 기능이 있는 것이 아무래도 더 유리합니다. 이 기능이 있고 없고에 따라 가격차이가 많이 나게 됩니다.
- 소프트웨어 캘리브레이션
: 그래픽카드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변경하여 모니터의 색상을 보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100% 정확하게 색상과 색상 사이의 색을 표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며 어느 단계에는 밴드 형태의 밴딩 현상도 나타나기 때문에 완벽한 캘리브레이션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
그래픽 카드의 신호를 보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모니터에 내장된 AD보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교정하는 방법으로 색상 이미지 품질 저하를 가져오지 않는 진정한 방식의 캘리브레이션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6. 비트심도
: 사진 작업용 모니터 는 8비트~10비트 이상을 기준으로 합니다
8비트와 10비트의 차이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10Bit 가 8Bit에 비해 더 많은 색상단계를 표현 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1Bit는 1과 0 두개의 상태를 의미하므로 8bit는 2^8=256개 의 밝기정보를 의미하게 됩니다. 각 화소에는 R, G, B 세가지 서브 픽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R=256개 밝기, G=256개 밝기, B=256개 밝기 로 총 (256*256*256) 1680만가지의 밝기로 색상 표현이 가능합니다.
이 것이 10Bit 일 경우 2^10=1024가지 이므로 R,G,B 각각 1024개의 밝기로 색상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R*G*B(1024*1024*1024) 의 조합은 약 10억가지의 색상이 표현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비트 숫자는 2밖에 차이가 안나지만 표현할 수 있는 색의 차이는 어마어마 합니다.
하지만 8Bit의 색상 표현 수도 상당히 많은 편이기 때문에 우리 눈이 판단하기에는 그렇게 나쁘지 않습니다. 8Bit와 10Bit 의 차이를 노을 빛과 같이 그라데이션으로 차이나는 이미지로 판단했을 때 예민한 눈을 가진 분은 차이를 느낄 수 있을 정도이므로 일반환경에서는 큰 차이를 느끼기 힘듭니다.
7. 주사율
: 사진에서는 움직임이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144Hz와 같은 높은 주사율은 큰 의미가 없는 스펙입니다.
8. 모니터 밝기
: 사진작업에 있어서 160nit 이상의 밝기는 큰 의미가 없기 때문에 160니트만 넘으면 됩니다.
9. G-SYNC / FREE Sync
: 게임을 할 때 필요한 기능으로 사진 작업 시에는 전혀 필요가 없는 기능입니다.
10. HDR
: 영상작업을 하거나 영상 재생을 할 때 필요한 기능으로 사진 작업과는 상관이 없는 기능입니다.
11. 입력단자
: HDMI 2.0 이상이면 문제가 없습니다. 또는 display 1.4, Thunderbolt 3 이면 좋습니다.
이 정도가 사진 작업용 모니터 추천 선정 기준이 되겠습니다.
그렇다면 사진가 모니터 추천 기준에 따라 선정한 제품을 살펴 보겠습니다.
1. 사진 작업용 모니터 32인치 모델
1) BenQ SW320 – 단종됨
2) ASUS PA32UCX
신상품. 제품정보 자세히 보기
3) DELL UP3216Q
4) ASUS PA329Q
2. 사진 작업용 모니터 27인치 모델
1) DELL UP2718Q
2) DELL UP2720Q
신상품. 제품정보 자세히 보기.
3) BenQ SW2700PT
4) BenQ SW271
5) ViewSonic VP3268
결론
결론은 사진 작업용 모니터 는 무지하게 비쌉니다. 비싼 이유는 Adobe RGB 지원과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에 있고 고급 모니터인 만큼 화면의 밝기 균일도도 좋기 때문입니다. 프로 사진가 라면 당연히 이러한 모니터가 필요합니다.
프로를 지향하시는 포토그래퍼 에게도 이러한 장비는 필수품 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사진은 RAW로 높은 색상 비트로 찍고, Adobe RGB로 촬영하여 이것이 재현되지 않은 모니터에서 후 보정을 한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행위이죠.
아쉬운 점은 사진 작업용 모니터가 조금 더 대중화 될 수 있도록 좀 더 많은 제품군과 가격대를 조금 낮추어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본 포스팅을 바탕으로 조금 가성비 높은 사진 작업용 모니터 제품 위주로 살펴 보겠습니다.
※ 위 링크에는 추천인 링크가 포함되어 있어서 링크를 통해서 구매하시게 되면 쿠팡 파트너스에서 추천인에게 소정의 수수료가 지급됩니다.
